Don Sunpil

[영상기록] Portrait Fist

돈선필
2020-07-23

돈선필
포트레이트 피스트

Don Sunpil
Portrait Fist

2020.7.23 - 9.13
아트선재센터 1층 프로젝트 스페이스


《Portrait Fist》는 오늘날 ‘얼굴’의 이미지를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소비하는지 탐구한다. 실제 인물, 배우의 초상, 가상의 캐릭터나 고도로 기호화된 도상 등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얼굴을 마주한다. 우리는 얼굴로부터 낯익은 정도, 개인의 신분이나 국적, 심지어 정치적 입장이나 지난 삶의 여정과 운명을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유난히 눈이 커다란 캐릭터의 모습에서 희로애락을 느끼고, 무생물의 파사드에서 표정을 읽을 수도 있다. 이처럼 얼굴의 이미지, 혹은 우리가 ‘얼굴’이라 부르는 이미지는 신체의 일부 그 이상으로, 항상 무언가를 대신하는 묘한 위치에 서 있다.

대체로 얼굴은 그것과 연결된 한 사람 혹은 실체를 증명한다. 하지만 얼굴로 인식되지만, 실제 얼굴과는 거리가 먼 이질적인 상태의 얼굴이 있다. 바로 ‘캐라’의 얼굴이다. 캐라란, 캐릭터의 일본식 독음(キャラクター)에서 파생한 단어로 사람의 성격이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인물을 뜻하는 캐릭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식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극단적으로 기호화된 얼굴 이미지를 통해 인격체로서의 정체성을 외부로 확장한다. 이러한 확장은 보통 독특한 머리 모양과 색, 일상에서 보기 힘든 의복이나 말투로 고착된다. 오히려 이러한 얼굴 주변의 부수적인 특징이 서로 엇비슷한 이목구비 대신 각 인물을 구분하게 만든다. 캐라의 얼굴은 이목구비를 갖추고 있지만, 얼굴의 역할을 하지 못한 채, 텅 비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만화 속 캐릭터를 보며 얼굴을 인식한다. 이처럼 캐라의 얼굴은 특정한 얼굴을 사진과 같이 재현해내는 대신 사물에 가까운 상태로 이행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리얼리티를 향한 욕망이 분주하다. 기술 발전으로 모니터의 해상도는 해를 거듭할수록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레트로 붐과 더불어 과거에 사랑받던 콘텐츠가 새롭게 리마스터 되면서 4k 시대에 걸맞은 고해상도의 옷을 입고 다시 우리 눈 앞에 펼쳐진다. 특히 게임의 변신이 눈부시다. 픽셀과 투박한 폴리곤의 제약에서 벗어나면서 오늘날 캐릭터는 타고난 배우처럼 연기한다. 저해상도로 뭉개져 있던 캐릭터의 얼굴은 모공과 솜털까지 생생하게 표현된다. 신작 게임의 스틸컷만 본다면 캐릭터인지 인간인지 구분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처럼 현실을 얼마든지 그럴듯하게 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지만, 우리가 마주하게 되는 것은 극도로 섬세하게 재현한 현실-리얼리티의 모방뿐이다. 게임은 해상도가 올라갈수록 영화를 닮아간다. 리얼한 콘텐츠 속 얼굴은 다른 차원으로 이행되기보다 실제 사람의 얼굴을 그대로 옮겨온 꼴이다. 고해상도의 재현력을 얻으면서 네모난 픽셀의 추상력을 잃은 것이다. 다양한 해석의 여지는 닫히고, 보이는 대로 보는 이진법의 시대를 살아간다.

사실상 빈 얼굴인 애니메이션 속 캐라에도 고해상도 시대의 리얼리티에 대한 욕망이 손을 뻗는다. 섬세하게 흩날리는 머리카락, 옷감의 텍스처, 반짝이는 눈동자와 동공, 해부학적 조건을 성실히 탑재한 뼈와 근육들까지, 빈칸을 강박적으로 채우려는 듯 도상에서 태어난 캐릭터에게 리얼리티를 주입한다.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은 해상도 과잉의 시대일지도 모른다. 인간의 삶이 풍요로워질수록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라는 대가를 치르듯, 치솟는 해상력 앞에 오늘날의 초상은 더욱 리얼하게만 다듬어져 가고 우리는 언제나 합리적인 얼굴들만 마주한다. 스타일의 미시적인 차이는 있지만, 마치 관용어구처럼 소실점은 언제나 리얼리티에 고정되어있다.

《Portrait Fist》는 여러 상태의 얼굴, 혹은 얼굴이 되기 위한 과정을 보여준다. 작가는 지난 전시를 통해 기울어진 유사 한옥에서 열화 복제된 서울의 풍경을(《민메이 어택: 리-리-캐스트》, 2016), 메탈릭한 몬스터의 표면에서 시간과 운의 모습을(《METAL EXP: 외톨이의 움직이는 시간》, 2018), 파편화된 상점과 피규어에서 현재 통용되는 언어를(《끽태점》, 2019) 파악하고자 했다. 《Portrait Fist》는 추상적 대상을 구체적인 상태로 제시하는 피규어의 특징을 재정립하는 과정이다. 대체로 캐릭터에 대한 일종의 2차 창작에 해당하는 피규어는 결국 ‘캐릭터’라는 문제를 직면하게 된다. 합성수지의 몸에 깃든 영혼이 바로 캐릭터라면, 캐릭터의 설정이 곧 피규어의 구체적인 상태를 판가름하는 것이다. 그 설정에 기여하는 큰 변수 중 하나가 바로 리얼리티의 반영 정도이며, 얼굴은 캐릭터의 리얼리티와의 관계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Portrait Fist》는 제목에서 지향하는 바처럼 우리가 알게 모르게 사용하고 이용당하는 얼굴이 가진 힘에 대한 이야기이자 오늘날 얼굴이라 불리는 초상의 이미지가 어떻게 사물화하면서 다른 대상을 견인하는지를 피규어라는 상태로 탐구한다.

Portrait Fist explores how we understand and consume images of faces. From people, celebrities, virtual characters, and highly schematized symbols, we encounter countless faces in daily life. From them, we interpret how familiar we are with them, one’s identity, nationality, political stance, or even the course of life and fate. At times we feel connected to a character with disproportionately huge eyes and make out facial expressions from objects. Images of a face, or images that we call a face is more than a body part. It stands askew, always substituting for something else.

In many cases, a face attests to the person or the substance to which it is connected. However, there are particular types of images that are perceived as faces, but in a state of non-face. It is none other than the face of Kyara. The term kyara comes from an abbreviation of the Japanese pronunciation of the word character – キャラクター, generally meaning personality or a person from an animation. A Japanese animation character tends to hold an extremely schematized face that expresses one’s identity. Such an expressive extension is crystallized by over-the-top hairdo, eccentric style, and distinct speech patterns. These additional qualities let viewers easily tell apart the characters when similar-looking facial features do not make the distinction so easy. A kyara’s face does have ears, eyes, a mouth, and a nose, but they do not stop it from looking somewhat empty. Nevertheless, we recognize a character when we see one. A kyara’s face does not represent a particular face from the real world. Rather, it evolves to an object-like state.

On the other side of the road, the desire for reality runs wild. With technological advances, the resolution of the monitors climbs higher by the minute. Compelled by the retro boom, well-loved entertainment contents from the past are now remastered, dressed in a high-resolution outfit that is only befitting to the 4K era. The gaming industry is particularly aggressive in the race. The characters are rid of the restraints of scarce pixels and crude polygons and behave like natural-born actors. What used to be a blurry image turns into a hyperreal face with visibly fine hair. It is difficult to tell if the figure is a character or a human being from the still image. Now we have a spectrum of options in replicating reality, but it seems that delicate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is the road too often traveled. The more games benefit from the high resolution setting, the more they look like movies. Faces from these realistic contents deliver faces from the real world rather than transitioning to another stage. The representative capacity came at the expense of the power of abstraction once mobilized in square pixels. The window towards interpretation is now shut tight while we are led to a world of the binary system, merely seeing what is provided to see.

A kyara, essentially an empty face, is not immune to the desire for reality in the era of high resolution. Exquisitely depicted streaks of hair and texture of the outfit, shiny pupils, and bones and muscles neatly aligned according to the anatomical rules serve to install reality on the iconographic characters as if to compensate for what has been spared. With this payoff, we have welcomed ourselves into an era of hyper resolution. Escalating resolution thrusts portraits further to the realm of the real, and all we see is legitimate faces. In every advancement comes a cost, as affluence brought with it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Albeit minor stylistic variations, the vanishing point is consistently fixed on the reality.

Portrait Fist demonstrates faces in various states or the process of becoming a face. In previous works, Don Sunpil has explored the city of Seoul in its deterioration and reproduction through the spatial metaphor of a slanted pseudo-hanok (Minmay Attack Re-Re-Cast, 2016), the looks of temporality and luck from the metallic surface of a monster (METAL EXP: The Loner’s Moving Time, 2018), and the current language by way of a fragmented store and figurines (Kitsutaiten, 2019). Followed by these observations, Portrait Fist is an attempt to rethink the nature of figurines that render abstract being into a concrete state. In most cases, a figurine is a derivative product from an original character, inviting us to reflect on what involves a character. As a character is a soul that dwells within synthetic resin structures, the setting of the character determines the specific features of a figurine. The degree of realness is one of the determining factors of such settings. The face, among other features, explicitl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and its reality. Portrait Fist amounts to a story about the power of the face that we, whether knowingly or not, manipulate or are taken advantage for as the title suggests. It is also an observation of the state of the figurine: how are portrait images that we often call faces objectified? And how do they compel other objects?


돈선필은 1984년생으로 서울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사물이나 캐릭터가 탄생하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나 다양하게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 중이다. 또한, 사회 현상이나 크고 작은 사건을 ‘피규어’의 관점으로 정의하여 그것에 어울리는 입체 조형물이나 서사적 영상을 제시하곤 한다. 개인전 《끽태점 喫態店》(아라리오 뮤지엄, 서울, 2019), 《METAL EXP : 외톨이의 움직이는 시간》(취미가, 서울, 2018), 《민메이어택 : 리-리-캐스트》(시청각, 서울, 2016)을 개최하였으며, 단체전 《「신생공간」전−2010년 이후의 새로운 한국미술»(카오스라운지, 도쿄, 2019), 《기억하거나, 망각하는》(아라리오갤러리, 서울, 2018), 《Image-Manipulate-Play》(The Print Room (the Coronet), 런던, 2017)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피규어 TEXT : Wonder Festival Report』(킷타이텐, 2019), 2016 『피규어 TEXT』(유어마인드,2016) 등의 단행본을 출간했다.

Don Sunpil (b.1984, Seoul) explores how objects and characters come to being and the diversified ways of consuming them. His three-dimensional structures and narratives in video rethink social phenomena and events through the unique lens of the figurine. Solo shows include Kitsutaiten (Arario Museum, Seoul, 2019), METAL EXP: The Loner’s Moving Time (Tastehouse, Seoul, 2018), Minmay Attack Re-Re-Cast (Audio Visual Pavilion, Seoul, 2016). He has participated in groups show New Spaces – New Korean Art since the 2010s (Chaos Lounge, Tokyo, 2019), Remembering or Forgetting (Arario Gallery, Seoul, 2018), Image-Manipulate-Play (The Print Room (the Coronet), London, 2017) among others. He is the author of Figure TEXT: Wonder Festival Report (Seoul: Kitsutaiten, 2019) and 2016 Figure TEXT (Seoul: YOUR-MIND, 2016).


기술지원: 민구홍매뉴팩처링
가구디자인: OTC(one two chachacha)
서문 번역: 유지원
디자인: MHTL
영상기록: 손주영
사진기록: 홍철기
주최: 아트선재센터
후원: 서울문화재단

Technical Support: Min Guhong Manufacturing
Furniture Design: OTC(one two chachacha)
Translation: Jiwon Yu
Graphic Design: Mat-kkal
Videography: Jooyoung Son
Photography: cheolki Hong
Organized by Art Sonje Center
Sponsored by Seoul Foundation of Arts and Culture


민구홍 매뉴팩처링
안그라픽스를 거쳐 워크룸에 기생하는 1인 회사. 여러 방식으로 회사, 즉 민구홍 매뉴팩처링 자체를 소개하는 데 주력하며, 그 과정에서 생산된 부산물을 이따금 제품으로 출시한다. 2015년 가을 시청각의 열세 번째 문서 「회사 소개」를 발표하며 비즈니스를 시작한 이래, 2016년 여름 미국 뉴욕의 시적 연산 학교와 기술제휴를 맺고, 2018년 봄 공식적으로 ‘구글 폰트의 친구’가 됐다. 2018년 가을 아카이브 봄에서 동업자들과 회사를 소개하는 행사 『레인보 셔벗』을 열었다. 2019년 가을 『레인보 셔벗』을 갈무리한 동명의 단행본이 아카이브 봄과 작업실유령에서 공동으로 출간됐다.

Min Guhong Manufacturing
Min Guhong Manufacturing is a one-person company that exists parasitically on Workroom, the Korean graphic design studio and publishing house. Before Workroom, the company lived on Ahn Graphics. The company does not manufacture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surveillance equipment, and most importantly, shower curtains that use the owner, Min Guhong’s interests as raw material.

​원투차차차[OTC]는 가구와 제품을 디자인하고 만듭니다.
조형하는 과정에서 부분과 부분의 밀도와 부피, 집중과 분산을 고려하여
전체 이미지의 호흡조절(완급조절)하는 방식을 중요히 생각합니다.

OneTwoChachacha[OTC] designs and builds furniture and manufactured goods.
Caring the parts, density, volume,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hi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