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 Sunpil

Don Sunpil ???

돈선필
2020-01-05

돈선필(b.1984)은 언어와 사회의 모습을 ‘구현화(Materialization)’의 관점으로 해석한다. 특히 서브컬처라 불리는 문화 전반에 대한 애정을 비평적 도구로 사용하여 입체물과 영상을 제작한다. 그 중 ‘피규어’가 만들어 낸 각종 사회현상과 함축된 서사, 리얼리티의 욕망, 조형물로서의 자기 완결성 등 복합적 단면을 탐구하고 이를 동시대 집단이 공유하는 인식 언어로 설명한다.

Don Sunpil (b.1984) interprets language and society through the lens of materialization. He uses his love for culture in general, especially subcultures, as a critical tool to create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videos. Among them, he explores the complexity of various social phenomena created by ‘figures,’ the narratives implied, the desire for reality, and the self-completeness of sculptures, and explains them in the language of perception shared by contemporary groups.


돈선필(b. 1984)은 하위문화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대상과 배경, 그리고 그에 대한 애정을 건조하게 해체해내는 작가이다. 작가에게 피규어로 대표되는 소위 ‘오타쿠’ 문화의 변방은 단순히 취미나 가벼운 애정을 쏟는 대상이 아니라, 흥미로운 사회 현상이자 공유된 미적 감각의 단서이다. 그는 순수미술 영역의 바깥에 태동한다고 단언되는 것들, 즉 하위문화와 애니메이션 등을 미술계 내 담론으로 이끌어 와 각자의 방식을 서로에게 투과하고 교차시켜본다. 한 손에는 애정을, 다른 한 손에는 엄격한 미적 감상의 태도를 유지하는 작가는 피규어를 만들어낸 문화 전반과 특정 서사, 대상에 대한 애정뿐 아니라 피규어라는 부가 창출물들이 갖는 그 자체로서의 완성도, 논리적 완결성 등을 집요하게 탐구하여 이를 우리에게 펼쳐 보인다.

작가는 피규어를 동일한 미적 지향성을 가진 개인들이 모여 만들어낸 대량생산물로 보고, 이 특정한 개인들, 공동체가 생겨난 바탕인 사회, 문화의 면면을 들여다 본다. 나아가 피규어와 순수미술의 접점을 ‘감상 외에는 쓸모가 없다’로 가정하여, 예술 작품 감상을 ‘덕질’에 비유한다. 이런 건조한 시선 하에 피규어는 본래의 색채나 특유의 스케일이 주는 느낌을 제한 채 재생산된다. 단색이거나, 원본과는 달리 크거나 작아진 피규어들은 단지 관망할 수 밖에 없는, 허망하지만 그 자체로 만족스러운 물체가 된다.

돈선필은 2020년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2019년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서울, 한국), 2018년 취미가(서울, 한국), 2016년 시청각(서울, 한국)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으며 2020년 대림미술관, 2019년 단원미술관(안산, 한국), 2018년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I 라이즈호텔(서울, 한국), 그라시 미술관(라이프치히, 독일), 2017년 더 프린트 룸(런던, 영국), 2016년 교역소(서울, 한국), 2015년 상상마당갤러리(서울, 한국) 등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2020년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서울, 한국)에 레지던시 참여 작가로 입주하였으며, “피규어 TEXT: 원더 페스티벌 리포트(2019)”, “민메이 어택: 리-리-캐스트(2016), “피규어 TEXT(2016)”을 출판한 바 있다.

DON Sunpil (b.1984) is an artist who dismantles the affection towards the object and background which are frequently appeared in the subculture. To the artist, represented by the figure, a so-called OTAKU culture is not simply for leisure or light amuse, but a fascinating social phenomenon and a clue to a shared aesthetic sense. DON brings out the subject like animation, which is asserted to be existing on the outside of Fine Art boundary, into a discourse within the art world then intersect each other. The artist not only maintains affection in one hand and strict aesthetic appreciation in the other for the cultural context, narrative, and the adoration towards the figures but also persistently explored the perfection and logical completeness of the figure, then unfolded them to the audience.

DON sees the figure as a mass-produced product created by individuals who share the same aesthetic orientation and looks into the aspects of society and culture, the basis of which these specific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ere create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 interface between figures and fine art is ‘useless except for the appreciation’, and appreciation of artworks is compared to ‘Deokjil’. Under such a dry gaze, figures are reproduced with the limitation of the original color of the feeling of a unique scale. Figures that are monochromatic, or resizing the original scale became an object only for the appreciation, but it becomes satisfactory objects just in themselves.

DON Sunpil held solo exhibitions at Art Sonje Center (Seoul, Korea) in 2020, ARARIO Museum in Space (Seoul, Korea) in 2019, TasteHouse (Seoul, Korea) in 2018, AVP (Seoul, Korea) in 2016. Participating in the group exhibitions were held at Daerim Museum (Seoul, Korea) in 2020, Danwon Art Museum (Ansan, Korea) in 2019, ARARIO Gallery Seoul I RYSE Hotel (Seoul, Korea), Grassi Museum (Leipzig, Germany) in 2018, The Print Room (London, UK) in 2017, Trading Post (Seoul, Korea) in 2016, SangSangMadang (Seoul, Korea) in 2015. DON participated in the Residency program at 14th SeMA Nanji Residency (Seoul, Korea) in 2020, and published “Figure TEXT: Wonder Festival Report, Kitsutaiten” (2019), “Minmay Attack: Re-Re-Cast, AVP” (2016), and “Figure TEXT, Yourmind” (2016).